전문기술서비스
- 회사소개
- 주요사업
- 전문기술서비스
신재생에너지사업
- 새 정부의 2030년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 확대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에너지 공기업들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전KPS는 미래 신성장동력으로써 신재생에너지에
주목하고 관련 사업개발 및 역량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
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신재생에너지 및 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 제2조는 태양광, 풍력 등 11개
분야를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사업 활동
한전KPS는 신재생에너지사업의 성장 전망에 따라 미래 잠재시장을 선도하고자
태양광, 풍력, 바이오, IGCC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EPC(설계, 조달, 시공)사업,
O&M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술확보를 위한 인력양성 및 연구개발도
병행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유기술 및 장비
한전KPS는 사업수행을 통한 축적된 기술을 발판으로 2012년 "지반
침하를 고려한 태양광 추적장치 및 그 제작방법" 특허를 취득하였으며,
시스템설계프로그램, 계통보호 시험장비 등 사업추진에 필요한 전용장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EPC 프로젝트
태양광 발전소의 설계, 조달, 시공 및 사후관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정부의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제도 도입에 따라 시장의 확대에 대비하여 사업타당성 조사를 비롯한 태양광 사업의 Total Solution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EPC 주요수행 실적
- 2007년 서천 화력 1.2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08년 전북 고창 1.9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09년 경북 영덕 1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10년 전남 고흥 950KW 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13년 전남 고흥 25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14년 강원 영월 38.9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15년 신보령 2.9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16년 함평 대동 2MW 수상태양광 발전소 건설
- 2016년 당진 3.4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신재생발전설비 정비사업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사후관리에 따라 효율 및 기기수명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이에 발전설비 정비 전문기업인 한전KPS에서는 신재생설비의 최대효율을 창출하고자 적기, 적재적소에 투입가능한 기술인력 확보와 전문인력 지원체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형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 소수력 설비를 정비하고 있으며 향후 신재생에너지 전분야에 독보적인 정비능력을 발휘할 예정입니다.
- 2018년 함평 대동 2MW 수상태양광 경상정비공사
- 2019년 남동발전 31.7MW 태양광 발전설비 경상정비공사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정비현황(단위 : MW, '19년)
구분 | 태양광 | 소수력 | 풍력 | 합계 |
---|---|---|---|---|
정비용량 | 150.6 | 28.0 | 6.0 | 184.6 |
기타 신재생사업 EPC, O&M 주요수행 실적
- 2014년 인천 송도 3MW 소각여열 발전사업 EPC 및 O&M
- 2015년 태안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경상정비 착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