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ERGY

자연스럽게

소소하게

친환경 교통


글_소일 (「제로 웨이스트는 처음인데요」
저자, 환경단체 활동가)

매일 아침 회사로 향하는 출근길, 집 앞 새벽에 도착한 택배, 여름 휴가로 다녀온 해외여행. 우리의 일상을 일상처럼 만드는 것은 인간의 혈관 같은 ‘교통과 수송’이다.

2021년 발표한 국토교통부의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르면 우리나라 탄소 총 배출량¹ 2018년 기준, 7억 2,760만 톤CO₂eq의 13.7%가 교통과 수송 부문에서 배출되었다.

화석연료(휘발유 CNG 등) 사용에 따른 배출로 차량이 95% 이상이며, 철도 항공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그러면 탄소중립 생활을 위해, ‘차’를 어떻게 타야 할까?

¹2018년 기준, 7억 2,760만 톤CO₂eq

가까운 거리는 두 발로!

가까운 거리는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하고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면 많은 탄소를 줄일 수 있다.

일주일에 하루는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해보거나 가까운 거리는 걸어보자. 빠르게 지나갈 때는 느낄 수 없었던 계절의 변화, 거리의 소리, 바람에 흔들리는 가로수 그림자를 느낄 수 있다.

잠깐의 걷기 혹은 자전거 타기만으로도 ‘일상’을 벗어나 여행을 떠나온 것 같은 기분 전환을 느낄 수 있다. 걷기 운동으로 근력도 키우고, 환경도 지키고, 여행도 떠날 수 있다.

날아라, 스케이트보드

요즘 나의 최대 관심사는 ‘스케이트보드’이다. 거리를 다니는 주행용 크루져보드를 타는 연습을 하느라 점심 휴식 시간이 다 지나버린다. 자전거, 킥보드, 스케이트보드, 롤러스케이트, 인라인 등 스포츠 겸 이동 수단이 될 수 있는 ‘취미’를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 같은 길거리를 다녀도 재미있는 보드와 함께라면 지루했던 거리가 재밌어진다.

친환경 운전 습관

승용차 운전이 필요한 경우라면,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운전 습관을 들이는 것도 방법이다. 친환경 운전 습관을 하나씩 만들어 갈수록 탄소배출은 줄여 환경에도 좋고, 낭비하는 비용을 아껴 경제에도 좋다. 평소의 운전 습관을 조금만 바꾸어도 1년이면 소나무 44그루를 심는 효과를 볼 수 있다.²

²자료: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탄소중립생활 실천 교통부문 실천방안’

- 급제동, 급출발 하지 않기
- 불필요한 엔진 공회전 하지 않기
- 불필요한 짐 싣고 다니지 않기
- 내리막길 운전 시 가속페달 밟지 않기
- 신호대기 시 기어를 중립으로 놓기
- 자동차 에어컨 사용 20% 줄이기
- 주기적으로 타이어 공기압 체크하기

9월 22일, 차 없는 날

우리가 사는 도시를 가득 채운 ‘차’가 없으면, 우리 동네는 어떤 모습이 될까? 지역에서 9월 22일 차 없는 날을 기념하는 행사가 있다면 참여해보자. ‘차’가 없는 거리를 걷는 경험으로 ‘사람’ 중심의 도시의 모습을 즐겨볼 수 있다.

10개의 항목 중에서 실제로 실천하고 있는 항목에 체크해봅시다.


4층 이하는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합니다.

가급적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을 구매합니다.

샤워시간은 줄이고 양치질할
때는 컵을 사용합니다.

마트나 시장에 갈 때는
장바구니를 애용합니다.

걷기, 자전거 타기, 대중교통
이용이 습관화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
플러그를 뽑아둡니다.

가급적 탄소성적표지제를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합니다.

절전형 LED 전등으로 교체하여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급식은 먹을 만큼만 덜어 먹고
남기지 않습니다.

여름엔 26℃ 이상,
겨울엔 20℃ 이하로 유지합니다.

10개~8개  지구를 지키는 멋진 분!

7개~5개  조금만 더 노력해 주세요.

4개 이하  생활 습관을 바꾸어보세요